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귀 직업 인터뷰 시리즈 9편] 소리 지도 제작자 — 귀로 그리는 세계의 풍경

by 설렘(seollem2508) 2025. 8. 13.

 

희귀 직업 인터뷰 시리즈 9편, 오늘은 소리 지도 제작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희귀 직업 인터뷰 시리즈 9편] 소리 지도 제작자 — 귀로 그리는 세계의 풍경
[희귀 직업 인터뷰 시리즈 9편] 소리 지도 제작자 — 귀로 그리는 세계의 풍경

 

 

1. 소리 지도 제작자란?

소리 지도 제작자(Sound Cartographer)는 특정 장소나 환경의 소리를 수집·분석해 ‘소리 지도(Sound Map)’로 만드는 전문가다.
이들은 마이크와 녹음 장비를 들고 도시, 숲, 바다, 사막, 빙하까지 이동하며, 공간의 음향 특징을 기록한다.

소리 지도는 단순한 녹음 모음집이 아니다.
시간대별·위치별 소리를 좌표로 매핑하고, 이를 시각·청각적으로 표현해 사용자가 특정 장소의 ‘음향 풍경(Soundscape)’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뉴욕의 소리 지도에는 맨해튼의 혼잡한 도로 소음, 센트럴파크의 새소리, 지하철 브레이크 소리가 동시에 표시된다.

 

 

2. 소리 수집과 제작 과정

소리 지도 제작의 첫 단계는 현장 채집(Field Recording)이다.
제작자는 고감도 마이크, 패러볼릭 마이크(집중형), 바이노럴 마이크(3D 입체 음향)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에서 소리를 녹음한다.
소리를 수집할 때는 날씨, 시간대, 인근 활동량까지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해변이라도 이른 아침에는 파도 소리가 부드럽고, 밤에는 거칠게 들릴 수 있다.

 

다음 단계는 편집과 분석이다.

소음을 걸러내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

소리의 발생 위치와 시간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기록

GIS(지리 정보 시스템)와 결합해 지도 위에 음향 좌표를 표시

 

마지막 단계는 시각화와 공유다.
웹사이트, 앱, 전시회 형태로 배포해 사람들이 직접 클릭하거나 터치해 소리를 듣고, 공간의 음향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3. 활용 분야와 사례

소리 지도는 생각보다 많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1) 환경 연구

도시 소음 수준 측정, 자연 보호 구역의 생태 음향 분석

예: 유럽연합(EU)의 ‘Quiet Cities’ 프로젝트는 소리 지도를 활용해 도시 소음 저감 정책을 설계

 

2) 관광·문화 콘텐츠

특정 지역의 소리를 체험형 관광 자원으로 활용

예: 일본 교토시는 사찰과 골목길의 소리를 지도화해 관광객이 QR코드로 청취 가능

 

3) 예술·미디어

영화·게임 사운드 디자인에 활용

예: BBC 다큐멘터리 제작팀이 아마존 열대우림 소리 지도를 기반으로 3D 사운드 연출

 

4) 역사 기록

도시 개발 전·후 소리 비교를 통해 역사적 변화를 기록

예: 베를린 소리 아카이브는 1930년대 거리 소리와 현재의 소리를 함께 보관

 

 

4. 직업의 매력과 어려움

소리 지도 제작자의 매력은 귀로 세계를 기록하는 독특한 경험이다.
눈으로 보는 풍경이 아니라, 귀로 듣는 풍경을 통해 장소를 새롭게 느낄 수 있다.
특히 자연 환경에서의 채집 작업은 사람들에게 잊히기 쉬운 ‘소리의 기억’을 보존한다.

하지만 어려움도 있다.

  • 현장 변수: 날씨, 교통 소음, 사람의 말소리 등 원치 않는 소리가 녹음에 들어갈 수 있음
  • 장비 부담: 고감도 마이크와 녹음기는 가격이 높고, 습기·먼지에 취약
  • 시간 소요: 좋은 소리를 얻기 위해 하루 종일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음
  • 저작권 이슈: 특정 음악, 방송, 대화가 녹음되면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음

한 제작자는 이렇게 말했다.

 

 

한 번은 숲속에서 새소리를 녹음하려고 6시간을 기다렸는데, 마침내 그 새가 울었죠.
그 순간이 제겐 금메달 같은 순간이었어요.

 

 

 

5. 업계 현황과 미래 전망

소리 지도 제작은 아직 틈새 분야지만, 스마트폰·VR·AR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VR 여행 콘텐츠, 메타버스 도시 체험, ASMR 콘텐츠 제작에 소리 지도가 결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와 도시 개발로 기존의 음향 풍경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이를 기록하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확산 중이다.
미국 국립공원청(NPS)은 2030년까지 모든 국립공원의 음향 지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6. 이 직업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소리 지도 제작자가 되기 위해서는 음향학, 환경공학, GIS, 사운드 디자인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필드 레코딩 경험을 쌓고, 음향 편집 소프트웨어(Adobe Audition, Reaper, Pro Tools)를 능숙하게 다루는 것이 필수다.
또한 현장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내심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집 주변, 시장, 공원 등身近한 곳에서 소리를 기록해보고, 이를 지도에 표시하는 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소리 지도 제작자는 ‘귀로 그리는 지도 제작자’다.
그들이 수집한 한 줄기 파도 소리, 새벽의 버스 정류장 소리, 오래된 건물의 엘리베이터 소리는 그 장소의 역사를 담고 있다.
눈을 감고 들어도 그곳에 있는 듯한 감각, 그것이 소리 지도의 힘이다.